interrupt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운영체제] 인터럽트(Interrupt)와 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 지난번에 정리한 멀티 프로세스 혹은 멀티 스레드 환경을 생각해보자 A라는 프로그램이 CPU를 할당받아 명령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어떠한 이유에서 어떠한 루틴의 실행을 목적으로 CPU를 할당받아야 한다고 해보자 그렇다면 어떻게 CPU에 대한 사용권을 얻어와야 할까? 이때 사용되는 것이 인터럽트(Interrupt)라는 것이다.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되면 A는 현재 수행중인 명령을 멈춘다. 그리고 어떠한 루틴을 수행한 다음 다시 A로 돌아와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명령을 멈췄으면 다시 돌아왔을때 처음부터 실행해야 되나? 이를 위해 멈추기 전에 현재 실행상태(명령의 위치)를 저장해 놓는다. 이렇게 저장되는 자료의 구조를 PCB(Process Control Block)이라고 한다. 그렇다.. 이전 1 다음